와우(world of warcraft)라는 게임을 애정을 가지고 적지 않은 시간을 해 왔습니다. 마침, Diary 카테고리에 쓴 마지막 글도 와우에 대한 것이었네요.

 

20년도 넘은 게임이지만, 와우가 가지는 특징 덕분에 커뮤니티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 사회의 여러 단면들을 게임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명한 일화로 와우 안에서 발생한 막을 수 없는 전염병에 대해 사람들이 보인 반응에 대한 글(The untapped potential of virtual game worlds to shed light on real world epidemics)이 저널에 실린 적이 있습니다. 위의 글 서문에서도 언급되었 듯, 현실 세계에서는 검증하기 어려운 모델들이 와우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통찰을 주기도 합니다.

 

앞으로 몇번의 글을 통해 제가 최근 몇년 동안 와우 클래식을 즐기면서 바라본 사회 현상들을 몇가지 나열하며, 인구 소멸의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그에 앞서, 와우 클래식에 대해 설명 드리고, 어떤 면이 현실 세계와 비슷하며, 왜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한 모델일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짚어보려고 합니다.

 

1. 와우 클래식

- 와우 클래식은 2004년 와우가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지 15년 뒤인 2019년, 다시 와우의 초창기 모습으로 게임할 수 있도록 블리자드가 제공한 제품입니다. 와우는 약 2년 주기로 대규모 패치를 진행하며, 새로운 확장팩을 출시해 왔습니다. 2019년 당시 7번째 확장팩인 격전의 아제로스가 본 서버에 운용 중이었고, 이는 출시 초기와는 게임 경험과 시스템 측면에서 매우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과거 와우의 향수가 있던 사람들은 사설 서버를 운영하며 과거 자신들이 재밌게 했던 시절의 와우를 즐기고 있었습니다. 물론, 이는 블리자드의 이용약관에 위배되는 행위였으며, 법적 조치로 인해 운영 정지를 맞는 사설 서버들도 많았습니다. 그 수요가 적지 않았는지, 그리고 2015년 출시한 오버워치 이후로 크게 인기를 얻은 게임이 없었던 블리자드는 과거의 게임에서 다시 영광을 되 찾으려 한 것인지는 몰라도 초기 와우의 게임 경험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자 2019년 와우 클래식을 출시하였습니다. 2019년은 뉴트로가 한창 유행하던 시절이었고, 학창시절과 대학생 시절 와우를 많이 즐겼고 이제는 성인이 되어 구매력이 강해진 1980-90년대생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2019년에 와우 vanilla 서버(확장팩이 전혀 출시되지 않은 와우의 첫 모습)를 출시한 이후로 본 서버에서 출시한 확장팩들도 클래식에 출시하고 있습니다. 2021년 '불타는 성전'(The Burning Crusade, 이하 '불성') 클래식에 이어 2022년에는 '리치왕의 분노'(Wrath of the Lich King, 이하 '리분') 클래식, 그리고 2024년 '대격변'(Cataclysm) 클래식을 출시하고, 2025년 지금도 운영 중입니다. 2025년 중에는 대격변의 다음 확장팩인 '판다리아의 안개'(Mists of Pandaria)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2. 와우 클래식의 인기

- 출시 초기 와우 클래식의 인기는 출시 전 4백만에 불과하던 유료 사용자 수를 두배가 넘는 8백만이 넘을 수 있게 해 줄 정도였습니다. 참고로 와우는 한번의 월 결제로 1. 지속적으로 확장팩이 출시 된 본 서버와 2. 와우 클래식 모두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 확장팩이 출시될 때 사용자가 한번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가 빠져나가는 경향을 보여왔습니다. 본 서버인 격전의 아제로스가 출시된지 1년 정도 지나 사용자는 줄어들고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두배의 성장을 이룬 도약은 온전히 와우 클래식의 출시의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와우 클래식은 세번째 확장팩인 '대격변'이 서비스 중입니다. 블리자드 측에서 제공한 공식 자료는 아니지만, 2004년 와우의 첫 출시 초기부터 대격변 확장팩까지의 유료 사용자 변화를 보면, 리분 이후로 계속해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대격변 마지막에 사용자가 급감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확장팩 출시부터 다음 확장팩 출시까지의 사이클에서 보이는 유료 사용자 변화 패턴은 대격변 이전까지는 보이지 않다가 대격변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와우 클래식의 확장팩별의 사용자 변화에 대한 정확한 통계를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간 와우 클래식을 즐기며 주변 사람들을 통해 들은 것들과 리분부터 대격변 기간 동안 제가 겪은 상황들을 비추어볼 때, 확장팩이 출시된 직후에 인기가 많고, 점점 사용자가 줄어드는 패턴은 와우 클래식에 반복되어 왔습니다.

클래식 확장팩 별로 봤을 때에는 클래식 출시 초기에 사용자가 가장 많았고, 확장팩 시즌 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3. 리치왕의 분노 클래식과 대격변 클래식

- 리분은 와우 확장팩 인기투표에서 항상 1-2위를 다툴 정도(출처 1, 출처 2)로 와우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확장팩 중 하나입니다. 반대로 대격변은 인기가 없는 확장팩 중 하나(출처)입니다. 제가 와우 클래식을 즐겼던 기간은 주로 리분과 대격변 기간으로, 와우 클래식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은 시기는 아니었지만, 지속적으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새로 유입되는 사용자는 줄어들고, 기존에 있던 사용자들은 그만두게 되면서, 전체 사용자 수는 줄어들게 됩니다.

이유는 다르겠지만, 낮은 출산율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한국의 모습과 유사합니다.

 

4. 도시서버와 시골 서버

- 와우는 서버라는 공간을 통해 사용자들을 분리합니다. 현실 세계에 국가의 개념처럼 각 서버별로 공동체와 사회가 존재하고, 서버별로 이주가 가능하지만, 이는 현금을 결제해야하며, 기존 서버의 커뮤니티를 벗어나 새 커뮤니티에 속해야하는 등 비용 외적인 부담이 있습니다.

와우는 항상 1서버가 가장 활발하고 사용자도 많았습니다. 이는 와우 클래식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인구가 많은 대도시 서버가 존재하고, 그만큼 경제 활동과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합니다. 그룹에 속해 있어야 더 많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된 와우의 특성상 대도시 서버에 있는 사용자는 와우의 더 많은 컨텐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시골 서버는 사용자 풀도 적고, 경제활동도 도시 서버에 비해 적으며, 좁은 인맥 속에서 살아가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금 결제를 통해 이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골 서버의 많은 유저들은 대도시 서버로 이주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이는 시골 서버의 인구 감속을 가속, 시골 서버의 활동을 더욱 위축 시키는데 기여합니다. 마치 지방 소도시들의 인구는 감소하는데, 서울의 인구만 증가하는 모습과 유사합니다.

 

5. 경제

- 와우는 경매장이라는 사용자간 거래 중개 플랫폼을 중심으로 자율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약초, 광물, 가죽 등 채집 자원을 얻어 경매장에 올리거나 이를 가공해 물약, 장비 강화 재료 등을 제작하여 판매합니다. 이는 자원 생산과 가공, 소비가 명확히 나뉘어 있는 구조로, 경제적 분업이 자연스럽게 형성됩니다.

와우 클래식의 경제는 현실 시장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한 구조를 보여줍니다. 자원의 생산과 가공, 소비가 분업화되어 있고, 경매장을 통한 거래는 실제 시장의 가격 메커니즘을 반영합니다. 공급과 수요에 따라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동되고, 특정 자원이 희귀해질수록 시장 가치가 상승합니다.
또한, 와우에는 ‘골팟’(골드로 아이템을 경매하는 파티)이라 불리는 독특한 던전 공략 방식이 존재합니다. 던전에서 획득한 아이템을 골드로 경매하고, 참가자에게 동일 혹은 실력에 따른 차등을 두어 모인 골드를 분배받습니다. 이는 사용자 간 협업을 통한 골드 수익 활동의 하나의 방식으로, 수요와 참여 인력의 규모에 따라 활성도가 달라집니다.

골팟을 통해 사용자는 일정 시간 노동에 대한 대가로 골드를 획득하며, 이는 현실에서의 시간 기반 소득 활동과 유사합니다. 사용자 간 신뢰, 전문성,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 참여 기회와 수익의 양이 달라지는 점도 현실과 닮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와우 클래식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와우 클래식에서 겪었던 인구 감소 현상이 어떻게 한국의 지금 모습과 비교될 수 있는지를 적어보았습니다. 앞으로의 글에서는 실제로 있었던 일들을 바탕으로 인구가 줄어든 한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적어보겠습니다.

 

참고 링크

- 나무위키: 오염된 피 사건

- [WOW] 블리자드, 와우 동접자 공개 - 워크래프트 30주년을 되돌아보며

- The results of the "Best expansion" form. With 1000+ voters here is what you think is the best/worst WoW expansion!

+ Recent posts